카테고리 없음

이중 모음 (二重母音)

염경수 2017. 7. 23. 13:11

(1)

이중 모음 (二重母音) 단어장 저장

<언어>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를 처음과 나중이 서로 달라지게 하여 내는 모음. 구성 요소 중 하나는 단모음이고 다른 하나는 반모음이며, ‘ㅑ’, ‘ㅕ’, ‘ㅛ’, ‘ㅠ’, ‘ㅒ’, ‘ㅖ...

본문
(145)
복모음 [複母音]
[같은 말] 이중 모음(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나중이 달라지는 모음).

거듭홀소리
[같은 말] 이중 모음(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나중이 달라지는 모음).

겹홀소리
[같은 말] 이중 모음(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나중이 달라지는 모음).

중모음2 [重母音]
[같은 말] 이중 모음(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나중이 달라지는 모음).

겹모음 [-母音]
‘이중 모음(소리를 내는 도중에 입술 모양이나 혀의 위치가 처음과 나중이 달라지는 모음)’의 북한어.

본문 더보기

맞춤법/표기법
(2)외래어의 된소리와 이중 모음 표기우리말 바로 쓰기원칙적으로, 외래어 표기에는 된소리(ㄲ, ㄸ, ㅃ, ㅆ, ㅉ)를 쓰지 않으며, 아시는 대로, 구개음인 'ㅈ, ㅊ' 뒤에서는 '쟈, 져, 죠, 쥬, 챠, 쳐, 쵸, 츄'가 아닌, '자, 저, 조, 주, 차, 처, 초, 추'로... '왜', '웨'의 발음우리말 바로 쓰기‘ㅞ’와 ‘ㅙ’는 ‘w계 이중모음’이므로, 이들의 첫소리는 반모음 ‘w’이며 결과적으로 [we]로 발음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은 ‘꿰[꿰ː]’, ‘꽤[꽤]’, ‘꾀[꾀/꿰]’와 같이...